심리 소개소

프롬의 성격유형(도피기제 : 권위주의, 파괴성, 자동적 동조 / 기본적 욕구 : 초월, 소속감, 정체감, 지향 틀, 흥분과 자극) 주요 개념

김소장85 2023. 10. 19. 16:51
반응형

프롬의 주요 개념인 성격유형 "도피기제, 기본적 욕구"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롬(1900-1980)

도피기제

 프롬은 그의 책 '자유로부터 도피'를 통해 서구문명의 역사에서 사람들이 보다 많은 자유를 성취함으로써, 그들이 보다 많은 고독, 무의미성, 고립을 느끼게 된다고 지적하였다. 역으로 사람들이 보다 적은 자유를 가질수록 그들이 보다 많은 소속 및 안전의 감정을 느낀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프롬은 자유 VS 안전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인간의 기본적 딜레마를 설명하였다. 여기서는 프롬이 제시한 자유의 부적적인 측면으로부터 도피하기 위해 그리고 잃어버린 안전을 되찾기 위해 사용하는 세 가지 정신적 기제에 대해 알아봅시다.

 

권위주의

권위주의에서 인간은 지배 혹은 복종의 새로운 형태에 집착함으로서 자유의 문제를 도피하려고 추구한다. 개인은 타인이 자신을 지배하도록 허용하거나 타인의 행동을 지배하고 통제하려고 한다. 권위주의의 특징은 자신의 삶이 자신 이외의 힘에 의해 결정되고, 행복의 유일한 방법은 그러한 힘에 복종하는 것이라는 믿음이다. 이러한 권위주의는 가학적 혹은 피학적 추구로 나타난다.

 

파괴성

파괴성을 통해 인간은 타인 혹은 외부 세계를 제거함으로써 자유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추구한다. 프롬은 '세계의 파괴는 자신을 보호하려는 최후의 결사적인 시도'라고 하였다. 그는 또한 파괴성이 자주 사랑, 의무, 양심, 애국주의로서 합리화되고 위장되지만 파괴성의 징후는 도처에 만연되어 있다고 믿었다.

 

자동적 동조

대다수의 개인들은 자동적 동조를 통해 자유의 문제를 도피하려고 추구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본연의 모습을 포기하고 사회, 문화에 의해 지배되고 선호된 성격유형을 채택한다. 사람들은 자동적 동조를 통해 '자기의 상실'이란 높은 대가를 치르면서 시대적 유행에 동조함으로써 고독과 불안을 느끼지 않으려고 한다. 


기본적 욕구

 인간은 보편적으로 안전을 얻고 고독을 도피하려는 추동과, 자유를 추구하고 자기 창조를 위한 추동을 가진다. 인간의 모든 갈망은 이러한 두 가지 추동의 대립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대립은 인간의 여섯 가지 기본적 심리적 욕구로 나타난다. 이러한 욕구에는 관계성, 추월, 소속감, 정체감, 지향 틀, 흥분과 자극이다. 각 욕구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계성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고, 타인의 안녕에 관심을 갖고자 하는 욕구

 이것은 타인과 관계를 맺고 생산적으로 사랑하려는 욕구이다. 관계성 욕구는 인간과 자연과의 일차적 관계가 분열됨으로써 나타난다. 이성 및 상상력 덕분에, 개인은 자연과의 분리, 자신의 무기력, 삶과 죽음의 자의성을 인식한다. 사람들은 자연과의 본능저 관계를 상실했기 때문에, 타인과의 새로운 관계성을 창조하기 위해 이성과 상상력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관계성을 성취하는 이상적 방법은 배려, 책임감, 존경, 지식을 수반하는 생산적 사랑을 통해서이다. 사랑을 느끼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성장과 행복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타인의 욕구에 반응하고, 있는 그대로 사랑하는 사람을 존경하고 알게된다.

 관계성 욕구의 실패로 자기애가 나타난다. 자기애적 개인은 객관적으로 세계를 지각하지 못한다. 자기애에 빠진 사람의 현실은 자신의 생각, 감정, 욕구에 대한 주관적 세계이다.

 

초월

 상상력과 사고력을 이용하여 창의적인 활동을 하고자 하는 욕구

초월은 인간이 이성과 상상력을 통해 만족할 수 없는 수동적인 동물상태를 뛰어 넘어려는 욕구를 의미한다. 우리 각자가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개인이 되려고 한다. 만약 개인의 창조적 욕구가 봉쇄되면, 그는 파괴적이 될 것이다. 파괴성과 창조성은 초월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타고난 경향성이다. 그러나 창조성이 더 우세한 경향성이다.

 

소속감

 가족, 집단 혹은 지역사회와의 유대관계를 배양하고자 하는 욕구

이럿은 인간이 자신의 뿌리를 찾으려는 것으로 가족, 집단, 지역 사회에서 애착을 형성하려는 욕구이다. 소속감은 자연과의 일차적 관계의 상실에서 비롯된다. 우리는 분리되어 홀로 있기 때문에, 초기에 가진 소속을 대체하기 위해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소속감을 확립해야 한다. 개인은 혈연관계를 통해 가장 만족스런 소속감을 갖게 된다. 소속감을 성취하는 방법 가운데 가장 만족스럽지 못한 방식은 유아기의 안전감에 집착함으로써 자신의 엄마와 아동기적 유대관계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것이다. 

 

정체감

 자신만의 독특한 자질과 능력을 개발하고자 하는 욕구

이것은 개인이 자신의 독특한 능력과 특성을 자각하려는 욕구이다. 개인은 자신의 독특한 재능과 능력을 개발하거나 특정 집단과의 동일시를 통해 정체감욕구를 만족시킨다. 동조는 정체감 욕구를 만족시키는 건전한 방법이 아니라고 프롬은 지적하였다. 왜냐하면 개인이 자기의 특성보다 집단의 특성을 따라는 동조에 의해 정체감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기는 빌려온 자기이지 진실한 자기가 아니다.

 

지향 틀

 자신의 경험을 조직화하고 자신이 헌신할 의미 있는 대상이나 목표를 찾기 위해 일관된 견해를 발다시키고자 하는 욕구

 이것은 안정적이고 일관된 참조 틀 혹은 헌신할 대상에 대한 욕구이다 개인은 지향 틀에 의해 자신의 지각을 조직화하고 환경을 이해한다. 개인은 자기 주변에서 진행되는 현상을 지각하고 이해하기 위해 환경에 대한 일관된 견해를 ㅂ라달시켜야 한다. 지향 틀은 합리적 혹은 비합리적 참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합리적 참조는 객관적 현실지각을 제공한다. 비합리적 참조는 주관적 견해에 따라 현실지각을 하게 된다.

 인간은 헌신할 궁극적 목표 혹은 대상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목표를 통해 방향감과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흥분과 자극

 활동 수준과 민감성의 최고 수준에서 뇌가 잘 기능할 수 있도록 자극적인 외부 환경을 얻고자 하는 욕구

 이것은 인간이 단순하게 반응하기보다 적극적으로 목표를 추구하는 욕구이다. 즉 개인이 일상생활의 욕구에 적응할 최고의 민감성과 에너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환경에 대한 욕구이다. 인간의 뇌는 최적수행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수준의 자극을 요구한다. 그러한 흥분이 없다면, 개인은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다.

 

 

 

 

 

반응형